전기온돌판넬
보성 전기 온돌판넬
고유가 시대의 현명한 선택!! 열효율이 높아 연료비까지 절약!!
고가의 배관공사가 필요없는 간단한 시공



판넬의 규격 (판넬두께 15t / 전압 AC 220V)
호칭 | 규격 (L x W) |
전격소비전력(Kw) |
BP1 |
2000 x 850 |
0.28 |
BP2 |
2000 x 400 |
0.135 |
BP3 |
1700 x 850 |
0.25 |
BP4 |
1700 x 400 |
0.12 |
BP7 |
1250 x 850 |
0.18 |
BP8 |
1250 x 400 |
0.09 |
BP9 |
850 x 850 |
0.12 |
BP10 |
400 x 850 |
0.06 |
※ 이외의 규격공급도 가능합니다. (상담전화 1544-9025)
판넬의 재질 및 사양
항목 | 사양 |
발열판 |
고내식성 및 특수 아연도 갈바륨 강판 |
단열재 |
경질폴리우레탄 |
발열선 |
발열체 실리콘피복 |
뒷 판 |
그라우트시 |
표면온도 |
20~50℃ |
하중강도 |
15Kg/㎠ |
안전장치 |
온도조절기, 과열방지기 |
배선회로 |
직렬식, 병렬회로 |
사용전압 |
AC 220V |
제품 특장점
경제성
고가의 배관공사가 필요없고, 열효울이 높아 연료비가 적고 시공공수가 적어 인건지가 적게 듭니다. 보일러 시공시 시멘트 양생에 필요한 기간 (3~5일)에 비해 공기가 짧습니다.
편리성
시공후 즉시 난방이 가능합니다.
시공성
기존의 바닥에 겨울에도 손쉽게 시공이 가능합니다. 부분난방 및 온도조절이 쉽습니다.
깨끗함
연소방식이 아니므로 화재, 가스, 동파로부터 자유롭습니다.
수명
반영구적이며 이동설치가 가능합니다.
용도
음식점, 여관, 기숙사, 유치원, 콘테이너, 교회 등에 적합하며, 경제적이고 간단한 설치 시공이 가능합니다.
난방비교표
구분 | 전기온돌판넬 | 일반보일러 |
경제성 |
필요한 부분만의 난방이 가능하여 난방을 효율적으로 할수 있다. |
부분난방이 안되고 열손실이 많다. |
난방효과 |
판넬내부의 규격화된 난방선으로 우수한 난방효과가 있습니다. |
설치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|
시공성 |
규격화된 판넬로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기간이 짧습니다. (40평:1일) |
콘크리트 양생 기간이 길어 시공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. (25평:5~7일) |
열전도성 |
높은 열전도성으로 난방효과가 우수합니다. |
열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손실열이 많이 발생합니다. |
취습성 및 재활용성 |
취급이 용이하고 이동설치가 가능하여 재활용성이 높습니다. |
시공에 주의를 요하며 시공 후 재사용이 곤란합니다. |
개축시공 |
기존바닥의 철거없이 바로 시공할 수 있다. 경량자재(약11Kg)로서 건물에 추가하중의 부담이 적습니다. |
기존바닥을 철거 후 재배관을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합니다.. 하중 부담이 높습니다. |
하자발생 |
하자가 거의 없으며 발생하더라도 대처가 용이합니다. |
하자시 보수가 어렵다. |
난방비교표
컨테이너규격(M) | 판넬시공수량(장) | 시공면적(mm x mm) |
조절기(용량 x 수량) |
3x3 | 1700 x 850 = 4 850 x 850 = 1 |
2,550 x 2,550 |
소용량 / 1개 |
3x4 | 1700 x 850 = 6 | 2,550 x 3,400 |
중용량 / 1개 |
3x5 | 1700 x 850 = 7 850 x 850 = 1 |
2,550 x 4,250 |
대용량 / 1개 |
3x6 | 1700 x 850 = 9 | 2,550 x 5,100 |
대용량 / 1개 |
3x7 | 1700 x 850 = 12 | 2,550 x 6,800 |
소용량 / 1개 대용량 / 1개 |
3x8 | 1700 x 850 = (13 or 12) + 850 x 850 = 1 |
2,550 x 7,650 |
소용량 / 1개 대용량 / 1개 |
3x9 | 1700 x 850 = 15 | 2,550 x 8,500 |
중용량 / 1개 대용량 / 1개 |
3x10 | 1700 x 850 = 16 + 850 x 850 = 1 |
2,550 x 9,350 |
대용량 / 2개 |
3x11 | 1700 x 850 = 18 | 2,550 x 9,350 |
대용량 / 2개 |
3x12 | 1700 x 850 =21 + (1700 x 850 = 19 / 850 x 850 = 1) |
2,550 x 11,900 |
소용량 / 1개 대용량 / 2개 |
전기온동판넬 온도조절기 1.3KW
전원부 |
정격입력전압 |
85VAC ~ 265VAC | 동작 |
전원투입표시 |
LED "전원표시" 점등 |
|
구동방식 |
아날로그(다이얼)방식 | 출력표시 | LED "난방표시" 점멸 |
|||
최대출력 |
1.3KW (판넬5장) | 온도범위 | 1~9단계 |
|||
부하 | 회로수 | 1 | 리모컨여부 | 없음 | ||
최대용량 | 6A | 센서 |
종류 | 무센서방식 | ||
정밀도 |
무센서방식 | 정밀도 (%) | - | |||
기타 |
외부케이스 |
난열성 ABS | 25'c 정격저항 | - | ||
무게 | 280g | 수량 | - | |||
치수 | 90(W) x 120(H) x 38(D) | 안전장치 |
센서의 단/ 합선 | - | ||
사용조건 | 대기온도 | 0'c ~ 40'c | 과열차단 기능 | 출력부 휴즈 | ||
대기습도 | 80%이하 | 조절기 내부보호 | - |
전기온동판넬 온도조절기 2.6KW
전원부 |
정격입력전압 |
85VAC ~ 265VAC | 동작 |
전원투입표시 |
LED "전원표시" 점등 |
|
구동방식 |
아날로그(다이얼)방식 | 출력표시 | LED "난방표시" 점멸 |
|||
최대출력 |
2.6KW (판넬5장씩 2난방) | 온도범위 | 1~9단계 |
|||
부하 | 회로수 | 2 | 리모컨여부 | 없음 | ||
최대용량 | 6A x 2 | 센서 |
종류 | 무센서방식 | ||
정밀도 |
무센서방식 | 정밀도 (%) | - | |||
기타 |
외부케이스 |
내열.난열성 ABS | 25'c 정격저항 | - | ||
무게 | 370g | 수량 | - | |||
치수 | 120(W) x 120(H) x 38(D) | 안전장치 |
센서의 단/ 합선 | - | ||
사용조건 | 대기온도 | 0'c ~ 40'c | 과열차단 기능 | 출력부 휴즈 | ||
대기습도 | 80%이하 | 조절기 내부보호 | - |
판넬 시공방법
1단계 :: 전원점검
설치할 공간의 공급전원 분전반을 확인, 전기용량을 점검하고, 전압이 AC110V 또는 AC220V 인지 확인한다.
2단계 :: 바닥확인
바닥면이 수평으로 되어 잇는가 여부를 확인하고 고르지 않을경우 아티론으로 수평을 맞춘다. 바닥면이 습할경우 완전히 건조한 수 습기유입을 막기위해 아티론으로 시공한다.
3단계 :: 바닥수정
바닥면이 수평작업이 필요할 정도의 굴곡이 있을 경우는 수평연마작업이나 합판시공을 한다
4단계 :: 판넬배치
설치공간에 판넬을 배치하되 이용이 많고 출입이 잦은 곳에 판넬을 배치하고, 판넬과 판넬 사이의 전선은 병렬로 연결한다. 이때 만넬의 시공면적은 전체 면적에 약 70%가 적당하다
5단계 :: 온도조절기 설치
발주자 또는 요청자와 설치위치는 정하고 판넬의 전선과 온도조절기의 출력선을 연결한다.
6단계 :: 공간처리
시공된 온돌판넬 벽체 사이의 공간은 합성고무판이나 합판을 재단하여 높이의 차이가 없도록 마감처리 한다.
7단계 :: 통전처리
결선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온돌판넬과 온도조절기 사이 각각 온돌판넬의 통전검사를 한다.
8단계 :: 마감처리
판넬과 판넬사이 및 판넬과 고무판 사이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